자신감을 갖기 위한 10가지 방법
당신의 마음 속에 성공의 설계도를 그리고, 다음에는 그것이 지워지지 않도록 강하게 인식하도록 하라.
결코 그 설계도가 흐려지게 해서는 안된다.
당신의 마음은 그 설계도가 점점 커지는 것을 염원하게 될 것이다.
결코 당신의 실패한 모습을 생각해서는 안된다.
결코 당신이 그린 설계도의 실현을 의심해서는 안된다.
인간은 항상 그 마음에 그린 것을 완성시키려고 노력한다.
때문에 만약 상태가 나쁠지라도 언제나 마음 속에는 성공의 설계도를 그려야 한다.
당신의 힘에 대한 소극적인 생각이 솟아날 때는 적극적인 생각을 말하라.
상상으로 장애물을 쌓아올려서는 안된다.
소위 장애물이란 무조건 과소평가하라.
장애물을 없애려면 그것을 행하는 데 어려운 문제가 무엇인가를 잘 연구하여 신중히 처리해야 한다.
이때 그 상황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절대로 불안이나 공포로 인해 그것을 확장시켜 바라보아서는 안된다.
타인의 위세에 눌려 그들을 흉내내려고 해서는 안된다.
어떤 사람도 당신의 일을 대신 처리해 줄 수는 없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 넘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은 당신처럼 불안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하루에 10번씩 다음과 같은 말을 되풀이해서 말하라.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면, 감히 누가 우리와 맞설 수 있으리요!' (로마서 8:31).
지금 당장 신념을 가지고 천천히 이 말을 반복해서 말하라.
당신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당신의 힘이 되어 줄 유능한 조언자를 구하라.
그리고 당신의 열등감과 자기불신감의 근원을 찾으라.
그러한 감정은 대부분 어린 시절에 싹튼다.
먼저 자신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만 열등감을 치유할 수 있다.
매일 10 번씩 다음의 말을 소리 높여 읽으라.
'내게 힘을 주시는 자 안에서 나는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빌립보서 4:13).
지금 곧 이 말을 되풀이해서 말하라.
이 마술적인 말씀은 이 지상에서 열등감을 없애주는 가장 강력한 해독제이다.
자기 자신의 능력을 정당하게 평가하라.
그리고 그것을 10퍼센트만 높이라.
자기 본위의 독단에 빠지지 않고, 건전한 자존심을 높이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하나님에 의해 해방된 자신의 능력을 신용하라.
당신 자신을 하나님의 손에 맡기라.
그러기 위해서 당신은 그저 '저는 당신의 수중에 있나이다.'라고 말하면 된다.
그리고 당신에게 필요한 일체의 힘을 모두 신으로부터 받고 있다고 믿는 것이다.
힘이 당신 속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실감하라.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속에 있느니라.' (누가복음 17:21) 라는 말을 긍정하라.
하나님이 항상 곁에 계시어 당신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기하라.
이제야말로 하나님으로부터 힘을 받고 있다고 굳게 믿으라.
- 노만 V. 피일 <적극적 사고방식 중에서> /자료ⓒ창골산 봉서방

한 사람의 어른이 된다는 것

-루디야드 키플링
만일 네가 모든 걸 잃었고 모두가 너를 비난할때
너 자신이 머리를 똑바로 쳐들 수 있다면
만일 모든 사람이 너를 의심할 때 너 자신은 스스로를 신뢰할 수 있다면
만일 네가 기다릴 수 있고 또한 기다림에 지치지 않을 수 있다면
거짓이 들리더라도 거짓과 타협하지 않을 수 있다면
미움을 받더라도 그 미움에 지지 않을 수 있다면
그러면서도 너무 선한 체하지 않고 너무 지혜로운 말들을 늘어 놓지 않을 수 있다면
만일 네가 꿈을 갖더라도 그 꿈의 노예가 되지 않을 수 있다면
또한 네가 어떤 생각을 갖더라도 그 생각이 유일한 목표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다면
그리고 만일 인생의 길에서 성공과 실패를 만나더라도
그 두가지를 똑같은 것으로 받아드릴 수 있다면
네가 말한 진실이 왜곡되어 바보들이 너를 욕하더라도
너 자신은 그것을 참고 들을 수 있다면
그리고 만일 너의 전생애를 바친 일이 무너지더라도
몸을 굽히고서 그걸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다면
한번쯤은 네가 쌓아 올린 모든 걸 걸고 내기를 할 수 있다면
그래서 다 잃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그러면서도 네가 잃은 것에 대해 침묵할 수 있고
다 잃은 뒤에도 변함없이 네 가슴과 어깨와 머리가 널 위해 일할 수 있다면
설령 너에게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는다 해도 강한 의지로 그것들을 움직일 수 있다면
만일 군중과 이야기하면서도 너 자신의 덕을 지킬수 있고
왕과 함께 걸으면서도 상식을 잃지 않을 수 있다면
적이든 친구든 너를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면
모두가 너에게 도움을 청하되 그들로 너에게 너무 의존하지 않게 만들 수 있다면
그리고 만일 네가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1분간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60초로 대신할 수 있다면
그렇다면 세상은 너의 것이며 너는 비로소 한 사람의 '어른' 이 되는 것이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인생의 역경에 부딪힐 때

폴 스폴츠가 쓴 '역경지수: 장애물을 기회로 전환시켜라'를 보면 인생의 역경에 부딪힐 때 보통사람은 세 가지 종류로 나뉘어진다고 한다.
첫째는, 힘든 문제에만 부딪히면 그냥 포기하고 도망가 버리는 사람인 퀴터(quitter: 포기하는 사람)형이다.
둘째는, 역경 앞에서 포기하고 도망가 버리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역동적으로 문제를 넘어갈 생각은 못하고 그냥 그 자리에 주저앉아 현상유지나 하고 있는 '캠퍼(Camper: 캠프치고 앉아 그 자리에서 그냥 안주하는 사람)'형인데 이런 캠퍼 유형이 거의 60-70%의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고 한다.
셋째는 역경이란 산을 만나면 모든 힘을 다해 기어 올라가 정복해 버리는 클라이머(climber: 산을 타고 올라가 정복하는 사람)형이다.
이들 중에는 자기만 역경을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다시 돌아와서 캠퍼들을 데리고 같이 역경을 넘어가는 사람을 '리더'라고 부른다.
-한 홍 '거인들의 발자국' /자료ⓒ창골산 봉서방

하버드대 졸업생들

1937년에 Harvard 대학 2학년이었던 268명에 대한
인생추적 연구보서가 있다.
Grant백화점의 재정지원을 받아 연구하였기에
‘Grant 연구 보고서’라 한다.
1967년부터 268명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하여
심층 연구한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그들 중의 ⅓이
정신질환에 걸렸다고 나온다.
아무리 명문 대학을 나오고 천재일지라도 정신질환에 걸리는
삶이라면 차라리 노동자나 농민일지라도 평범한 보통사람으로
건강하게, 행복하게 사른 편이 훨씬 나을 것이다.
그 보고서에 의하면 나이들어 가면서 행복하게 사는 7가지 요소를 적었다.
①고통에 적응하는 성숙한 자세
②안정된 결혼
③금주(禁酒)
④금연(禁煙)
⑤운동
⑥적절한 체중
⑦계속하는 교육, 연구생활을 들었다.
그런데 그들 268명 중에서 80세 이상을 살면서
Happy Well을 누린 사람들은 위에 7가지 요소들 중에서
5가지 이상의 요소를 갖춘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들 중 3가지 이하의 요소를 갖춘 사람들이
불행한 삶을 살거나 50세 이전에 죽은 사람들이었다.
이런 자료들을 대하노라면 인생 한 평생에 중요한 것은
명문대학 가는 것도 아니고 높은 지능을 지니는 것도 아니요,
보통사람으로 살더라도 건전한 가치관을 지니고
건강하게 행복을 누리고, 나누며 사는 삶이 중요함을 알게 힌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실패는 이 같은 것들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패는 당신이 결코 실패자임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아직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실패는 당신이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했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무엇인가를 배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패는 당신이 결코 바보였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보다 강한 신념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실패는 당신이 뒤떨어진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절대적이지 못함을 의미한다.
실패는 당신이 시간을 낭비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새 출발의 기회를 가졌음을 의미한다.
실패는 당신이 물러서야 한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이 더욱더 분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패는 신이 당신을 외면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당신에게 더 훌륭한 생각을 주시고자 함을 의미한다.
왜 당신은 실패를 두려워하는가?
실패는 곧 자존심의 상실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패를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당신 자신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다.
당신은 자존심이 꺾일까봐 두려워한다.
역사는 열심히 투쟁했던 패배자를 결코 버리지 않음을 기억하라.
-해럴드 셔먼 <성공은 실패를 앞세우고 온다>/자료ⓒ창골산 봉서방



